성씨의 유래

성씨의 유래

당성서씨(唐城徐氏),서득부(徐得富),당성서씨조상인물

작성일 : 2017-04-17 17:43 수정일 : 2018-04-26 13:11

시조 및 본관의 유래

당성서씨(唐城徐氏)는 남양서씨(南陽徐氏)에서 분적(分籍)된 계통으로 고려 때 귀화해 온 남양군(南陽君) 서간(徐 趕)의 12세손 교리(校理) 원길(元吉)의 둘째 아들 서득부(徐得富)를 시조(始祖)로 받들고 관향(貫鄕)을 당성(唐城)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 왔다.

당성(唐城)은 지금의 경기도(京畿道) 화성군(華城郡) 남양면(南陽面)의 옛 지명(地名)으로 남양면의 고구려(高句麗) 때 이름이 당성군인데 통일시라(統一新羅) 경덕왕(景德王)이 당은군(唐恩郡)으로 개명하였으며, 고려(高麗) 초에 다시 당성군이라 하였다가 1310년(충선왕 2) 남양부(南陽府)가 되었다. 조선(朝鮮) 말기에 남양군이 되었고 그후 여 러 차례 변화를 거쳐 화성군에 속한 남양면이 되었다.


대표적인 인물

박연폭포(朴淵瀑布), 황진이(黃眞伊)와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節)>로 불리워진 화담(花潭) 경덕(敬德)은 시조 득부(得富)의 증손이며 부위(副尉) 호 번(好蕃)의 아들로 형덕(馨德)․숭덕(崇德) 두 아우와 함께 기행(奇行)으로 많은 일화를 남겼고, 학자로 명성을 떨쳤다.

특히 그는 13세에「서경(書經)」을 읽고 복잡한 태음력(太陰曆)의 수학적 계 산을 스스로 해득했으며, 18세 때「대학(大學)」을 읽고 격물치지(格物致知)의 원리를 깨달았다.

1531년(중종 26) 어머니의 요청으로 생원시(生員試)에 응시하여 합격했으나 벼슬을 단념하고 개성(開城)의 동문(東門) 밖 화담(花潭)에 초막을 지어 진리의 탐구에 전심, 이기론(理氣論)의 본질을 연구하여 기(氣)와 이(理)이 상관 관계에서 천지만물이 형태화하며, 음양(陰陽)으로 분화(分化)한다는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을 체계화했고, 김안국(金安國) 등이 후릉 참봉(厚陵參奉)에 추천했으나 사양하고 계속 학문연구로 여생을 보냈다.

「지소록(識小錄)」에 그의 기습(奇習)과 기태(奇態)에 대한 기록이 다음과 같이 전한다. 그는 오로지 학문의 이치를 연구하는 것으로 일을 삼았다. 궁리하는 방법은, 하늘의 이치를 알고 싶어 하면 천(天)자를 벽에 써 놓고 연구 하다가 이미 궁리한 뒤에는 다시 딴 글자를 써서 연구하였으니, 그 깊이 생 각하고 힘써 구하는 것이 다른 사람의 미칠 바가 아니었다.

「석담일기(石潭日記)」에는, 치산(治産)하는 것을 일삼지 않아서 여러번 먹을 것이 떨어져 주렸는데 주림을 참는 것이 다른 사람들로서는 감히 견디지 못할 지경이었으나 그는 태연히 처하였다. 그의 문하생(門下生) 강문우(姜文祐)가 쌀을 가지고 와서 뵈니 경덕 이화담(花潭) 위에 앉아서 해가 한낮이 지나도록 이야기 하는 것이 사람을 감동시키고 얼굴에 조금도 피곤한 빛이 없었다. 문우가 부엌에 들어가서 그 집 사람에게 물으니, “어제부터 양식이 떨어져 밥을 짓지 못했다”하였다 한다.

그의 수제자 허 엽(許 曄)이 그를 찾아 화담에 가는데 장마가 6일째 계속 되여 물이 넘쳐 건너지 못하다가 날이 저무는데 물결이 조금 줄어 겨우 건너서 경덕의 처소에 이르렀다. 이때 경덕은 거문고를 타면서 글을 높이 읊고 있었는데 허 엽이 자기가 먹을 저녁밥을 지으려 하니 그가 말하기를, “나도 역시 먹지 않았으니 함께 밥을 지으라”하였다. 허 엽이 부엌에 들어 가 솥뚜껑을 열어보니 이끼가 소복하게 끼어 있어 이상히 여기며 연고를 물으니 경덕이 말하기를 “물에 막혀 집사람이 6일째 오지 못하므로 내가 오래 먹지 않아서 솥에 이끼가 생겼나보다”하였다. 허 엽이 그 얼굴을 우러 러 보니 조금도 주린 빛이 없었다.

개성(開城)에 여자 소경(盲女)의 딸 진랑(眞娘)이 살았다. 성품이 쾌활해서 남자와 같았으며 거문고를 잘 타고 노래를 잘하며 일찌기 산수간에 놀아 풍악(楓岳)으로부터 태백산․지리산을 지나 금성(錦城)에 이르니 그 고을 원이 잔치를 베풀어 감사(監事)를 대접하고 있었다. 노래하는 기생이 좌석에 가득한데 진랑이 떨어진 옷, 때묻은 얼굴로 바로 그 상좌에 앉아서 이(虱)를 잡으면서 태연히 노래하고 거문고를 타는데 조금도 부끄러워 하지 않으니 여러 기생들의 기가 질렸다.

평생에 화담의 사람됨을 사모하여 늘 거문고를 메고 술을 걸러 화담의 거처를 찾아 실껏 즐기다가 돌아가곤 하면서 매양 말하기를, “지족노선(知足老禪)이 벽을 쳐다보고 앉아서 공부했어도 역시 나에게 조행(操行)이 무너 졌지만 오직 화담 선생은 여러해 동안을 친하게 지냈으나 마침내 난(亂)한 데 이르지 않았으니 이는 진실로 성인(聖人)이로다”하였다.

또 한때 진랑은 화담에게 말하기를 “송도(松都)에 삼절(三絶)이 있습니다”하자 화담이 “무엇이 삼절인고”하니 진랑은 “박연폭포(朴淵瀑布)와 선생과 나 입니다.”하니 화담이 웃었다.

그 외 당성서씨의 인물로는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 후경(後慶)과 병마절 도사(兵馬節度使) 우신(佑申)이 가문을 빛냈다.


인 구

2000년 통계청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당성 서씨(唐城徐氏)는 남한(南韓)에 총 4,978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대인물(歷代人物)-당성서씨조상인물

서순경(徐順卿) 조선 때 부사용(副司勇)을 지냈다.

서호번(徐好蕃) 조선(朝鮮) 때 부위(副尉)를 역임하였다.

서경덕(徐敬德) 1489 (성종 20) ~ 1546 (명종 1)

자(字)는 가구(可久), 호(號)는 복재(復齋), 화담(花潭), 시호(諡號)는 문강(文康), 부위(副尉) 호번(好蕃)의 아들. 가세가 빈한하여 독학으로 공부를 하여 13세에 「서경(書經)」을 읽고 복잡한 태음력(太陰曆)의 수학적 계산을 스스로 해득했으며, 18세에는 「대학(大學)」을 읽고 격물치지(格物致知)의 원리를 깨달았다.

1509년(중종 4) 경기․영남․호남 지방을 유람한 후 산림(山林)에 묻혀 후진의 교육에 힘을 기울이던 중 1519년(중종 14) 조광조(趙光祖)에 의해 현량과(賢良科)에 응시토록 추천받았으나 사퇴하고 학문연구에만 전심하다 병약한 몸을 치료하기 위해 1522년 속리산․지리산 등 명승지를 구경, 기행시(紀行詩) 수편을 남겼다.

1531년(중종 26) 어머니의 요청으로 생원시(生員試)에 응시, 합격했으나 벼슬을 단념하고 개성의 동문 밖 화담(花潭)에 초막을 지어 진리의 탐구에 전심, 이기론(理氣論)의 본질을 연구하여 우주 본질로서의 기(氣)와 이(理)를 논하고, 기와 이의 상관 관계에서 천지만물이 형태화하며, 음양(陰陽)으로 분화(分化)한다는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을 체계화했다.

인간의 죽음도 우주의 기에 환원(還元)된다는 사생일여(死生一如)를 주장함으로써, 노자(老子) 철학의 생사분리론(生死分離論)과 불교의 인간 생명이 적멸(寂滅)한다는 주장을 배격했다.

1544년 김안국(金安國) 등이 후릉 참봉(厚陵參奉)에 추천했으나 사양하고 계속 화담에 머무르면서 성리학(性理學)의 연구에 전심하고, 도학(道學)을 비롯하여 수학(數學)․역학(易學) 연구(硏究)로 여생을 보냈다.

황진이(黃眞伊)의 유혹을 물리친 일화(逸話)가 전하며, 박연폭포(朴淵瀑布), 황진이와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節)로 불린다. 개성의 숭양서원(崧陽書院), 화곡서원(花谷書院)에 제향(祭享), 1575년(선조 8) 우의정(右議政)에 추증(追贈), 1585년 신도비(神道碑)가 세워졌다.

서후경(徐後慶) 조선조에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를 역임하였다.

서우신(徐佑申) 조선 때 병사(兵使)를 역임하였다.

서행건(徐行健) 조선(朝鮮) 때 참봉(參奉)을 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