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씨의 유래

성씨의 유래

우계이씨시조(羽溪李氏),이양식(李陽植),우계이씨조상인물

작성일 : 2017-05-03 16:20 수정일 : 2018-08-08 15:05

우계이씨의 연원(羽溪李氏의 淵源)

우계이씨시조(始祖) 이양식(李陽植)은 원래 경주이씨시조(慶州李氏始祖) 이알평(李謁平)의 47世孫 이선용(李宣用)의 둘째 아들로 고려인종 17년 文科에 급제 중서사인(中書舍人)과 좌복야(左僕射)를 지내고 만년(晩年)에 강릉우계현(江陵羽溪縣)에 낙향(落鄕)하여 관향(貫鄕)을 삼고 분적(分籍)함으로써 우계이씨(羽溪李氏) 시조(始祖)가 되었고 금성군(錦城君) 이순우(李純祐)는 고려의종때 문과(문과)에 장원급제(壯元及第)하여 충주사록(忠州司錄)을 거쳐 명종 16년 공역승 겸 한림원(供驛丞 兼 翰林院)때 왕명(王命)을 받아 病으로 고생하는 왕태후(王太后)를 위해 기도문을 지음으로 해서 왕의 신임을 받아 우정언(右正言) 지제고(知制誥) 국자좨주(國子祭酒) 간의대부(諫議大夫)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역임한 뒤 태자빈객(太子賓客) 보문각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내고 금성군(金城君)에 봉해졌다.(기도문 : 瘡在母乳 痛在朕心)


대표적인 인물

예빈경(禮賓卿) 이구(李球)는 일찍 출사(出仕)하여 예빈경에 이르렀으며 당대의 시호(詩豪)로서 관동이군자시(關東二君子詩)를 지어 죽서루(竹西樓)에 게판(揭板) 되는 등 문명(文名)을 날렸다.

옥천부원군(玉泉府院君) 이녹후(李祿厚)는 충숙왕 10년에 文科에 장원, 판전이사사(判典理司事) 대사헌 겸 문하시중평장사(大司憲 兼 門下侍中平章事)로 삼중대광(三重大匡)에 올라 옥천부원군(玉泉府院君)에 봉해졌다.

원수공(元帥公) 이억(李억) 자 : 信之(신지) 호 : 退隱(퇴은) 유장(儒將)으로 강계원수(江界元帥)와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역임하고 요동정벌(遼東征伐) 때 많은 공을 세웠다.

그러나 불사이군(不事二君) 기절(氣節)에 살아 이태조(李太祖)가 제수(除授)한 도평의사사사(都評議使司事)와 삼고(三顧)의 請도 뿌리치고 소백산하 順興(순흥)에 隱居(은거)하였다. 여말절신(麗末節臣)으로 고려숭의대전(高麗崇義大殿)에 배향되었다.

도촌공(挑村公) 이수형(李秀亨)은 평시서령(平市署令)으로 出仕하였으나 단종폐위(端宗廢位)때 기관낙향(棄官落鄕)하여 생육신(生六臣) 조어계(趙漁溪), 원관란(元觀瀾)과 단종복위운동을 치악산(雉岳山) 속에 제명(題名)하고 공북헌(拱北軒)을 세워 충거우국(忠居憂國)하다가 동학사 숙모전(東鶴寺 肅慕殿)에 配享 炊沙公(취사공) 이여빈(李汝馪)은 桃村公(도촌공)의 현손(玄孫)으로 을사(1605년) 문과(文科)에 급제(及第) 광해군정란(光海君政亂)에 전은소(全恩疎)를 상소(上疎)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자 벼슬을 그만두고 순흥부감곡(順興府鑑谷)에 퇴거(退居)하여 인수정(因樹亭)을 짓고 일생(一生)을 시문(詩文)으로 지냈으며 도계서원(道溪書院)에 배향(配享) 되었다.

충장공(忠壯公) 이복남(李福男)은 이조 선조 때 무과(武科)에 올라 나주판관(羅州判官), 남원부사 겸 전라병마절도사(南原府使 兼 全羅兵馬節度使)로 있을 때 정유재란(丁酉再亂)을 당하여 왜군(倭軍) 10만 대병과 용전분투(勇戰奮鬪)하다가 순절(殉節) 남원충열사(南原忠烈祠)에 배향(配享) 되었다.

송곡공(松谷公) 이서우(李瑞雨)는 현종 1년에 문과에 등과(登科)하여 동래(東萊), 강릉(江陵) 부사, 홍예문제학(弘藝文提學), 대사간(大司諫), 도승지(都承旨) 대사헌(大司憲), 이, 호, 형, 공(吏, 戶, 刑, 工) 4조참판(四曹叅判)과 경기, 황해, 경상, 강원, 함경(京畿, 黃海, 慶尙, 江原, 咸鏡)의 5도관찰사(觀察使)를 지냈으며 시문(詩文)과 서도(書道)에 유명하며 유집(遺集)으로 송파집(松坡集) 이십권(二十卷)이 있다.

우계이씨는 고려와 조선조에 걸쳐 충절(忠節)을 빛낸 분이 많아 영남지방(嶺南地方)과 기서지방(畿西地方)에는 節義(절의)의 門中으로 이름나고 各界에 수많은 人材들이 多數配出되어 國家經營에 이바지하고 있다.


인 구

2015년 통계청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우계이씨는 전국에 19,585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대 인물 - 우계이씨조상인물

고려시대 인물

이양식(李陽植) : 시조(始祖) 좌복야(左僕射)

이순우(李純祐) : 사호(賜號) : 금성군(錦城君) 국자대사성(國子大司成)

이공용(李公用) : 남성전서(南省典書)

이구(李 球) : 예빈경(禮賓卿)

이녹후(李祿厚) : 사호(賜號) : 옥천부원군(玉泉府院君) 대사헌 겸 문하시중 평장사(大司憲 兼 門下侍中 平章事)

이흥원(李興元) : 직제학(直堤學)

이억 : 자 : 信之, 호 : 退隱 강계원수(江界元帥), 밀직부사(密直副使)

이인(李 軔) : 정당문학(政堂文學)

조선시대 인물

이인숙(李仁淑) : 자, 화경(和卿) 통훈대부 덕천군수

이경연(李景衍) : 자, 관보(觀甫) 통정대부 형조참의

이수형(李秀亨) : 자, 영보(英甫) 호, 도촌(桃村) 가선대부 이조참판(吏曹叅判)

이징(李 徵) : 자, 헌부(獻夫) 가선대부 호조참판

이삼준(李三俊) : 자, 정언(廷彦) 문과에 급제 통정대부 병조참의

이득성(李得成) : 호, 동은(東隱) 문과에 급제 가선대부 이조참판

이대근(李大根) : 자, 불발(不拔) 통훈대부 현감

이지방(李之芳) : 자, 자화(子華) 무과에 급제 가선대부 동지돈녕부사

이식(李 植) : 가선대부 대사헌

이영(李 榮) : 자, 양수(陽叟) 호, 북산(北山) 가선대부 병조참판

이광식(李光軾) : 자, 백흠((伯欽) 무과에 급제 자헌대부 병조판서

이여기(李汝機) : 자, 숙형(叔衡) 무과에 급제 통정대부 좌승지

이황령(李凰齡) : 자, 치정(稚亭) 통정대부 공조참의

이감(李 戡) : 자, 언신(彦愼) 문과에 급제 자헌대부 대사헌 이조판서

이전(李 戩) : 자, 언우(彦祐) 무과에 급제 숭정대부 좌찬성

이용(李 용) : 자, 언선(彦善) 무과에 급제 함경북도 병마절도사

이대용(李大用) : 무과에 급제 절충장군 첨지중추부사

이찬(李 纘) : 자, 비승(丕承)호, 율제(栗齊)통훈대부 장악원정

이유(李 庾) : 자, 자영(子榮) 절충장군 첨지중추부사

이심(李 심) : 자, 여첨(汝瞻) 호, 창암(蒼巖) 통훈대부 풍기군수

이성헌(李成憲) : 자, 중장(仲章) 문과에 급제 가선대부 이조참판

이희헌(李希憲) : 자 가정(可正) 무과에 급제 참조무원종일등공신 정헌대부 지중추부사

이준헌(李遵憲) : 자, 중수(仲守) 무과에 급제 숭정대부 좌찬성

이욱(李 郁) : 무과에 급제 통훈대부 곡산부사

이여빈(李汝賓) : 자, 덕훈(德薰) 호, 취사(炊沙) 문과에 급제 통훈대부 성균관 전적

이성길(李成桔) : 통정대부 첨지중추부사

이명남(李命男) : 자, 신보(申甫) 문과에 급제 가선대부 예조참판

이길남(李吉男) : 자, 석보(錫甫) 통정대부 좌승지

이복남(李福男) : 자, 수보(綏甫) 시호, 충장(忠壯) 무과에 급제 숭정대부 좌찬성

이인수(李仁秀) : 자산부사

이징도(李徵道) : 자, 이상(以相) 호, 무능(武陵) 문과급제 성균관직강

이경여(李慶汝) : 자, 대보(大甫) 무과에 급제 절충장군 전라좌도 수군절도사

이경항(李慶恒) : 자, 사상(士常) 문과에 급제 자헌대부 예조판서

이희(李 熺) : 성균관 진사

이기륭(李基隆) : 용양위 부호군(龍驤衛 副護軍)

이기정(李基定) : 절충장군 용양위부호군(龍驤衛 副護軍)

이가우(李嘉雨) : 문과에 급제 가선대부 이조참판

이서우(李瑞雨) : 자, 윤보(潤甫) 호, 송곡(松谷) 문과에 급제 가선대부 도승지, 대사헌, 경기, 황해, 경상, 강원, 함경 5도 관찰사 이조, 호조, 형조, 공조 4조 참판

이상우(李商雨) : 자, 설지(說之) 문과에 급제 통정대부 좌승지

이세구(李世龜) : 자, 성서(聖瑞) 무과에 급제 가선대부 병조참판

이태망(李台望) : 무과에 급제 가선대부 병조참판

이봉래(李鳳來) : 자, 여성(汝盛) 통정대부 좌승지

이상구(李商耈) : 자, 사도(士道) 가선대부 오위도총부 부총관(五衛都摠府副摠管)

이현상(李顯相) : 자, 상지(相之) 호, 태화(太華) 가선대부 예조참판

이유신(李惟新) : 통정대부 갑산부사

이재명(李在明) : 문과에 급제 가선대부 규장각 제학

이휘선(李徽善) : 가선대부 평리원 판사, 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