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씨의 유래

성씨의 유래

진보 · 진성이씨, 진성이씨시조,이석,진성이씨조상인물

작성일 : 2017-05-05 10:26 수정일 : 2018-08-14 12:40

진보 · 진성이씨 연원(眞寶 · 眞城李氏 淵源)

진보 · 진성이씨시조 이석(李碩)은 고려말에 진보현리로서 사마시에 합격하고 진사로 있었다. 그의 아들 자수(子脩)가 귀하게 되어 봉익대부 밀직사에 추증되었다.

그 후손들이 이석을 시조로 모시고 진보 · 진성을 관향으로 계승하고 훌륭한 인재가 배출되어 명문거족이 되었다.


관향지의 연혁

관향지 연혁은 본래 칠파화현을 신라 경덕왕이 진보로 고치고 문소군 영현으로 삼았으며. 조람현을 경덕왕이 진안으로 고치고 야성군의 영현으로 삼았는데, 고려 초에 진보현과 진안현을 합하여 보성부(재암성)를 설치하였다. 고려 현종 때 다시 예주에 귀속시켰는데 뒤에 왜구로 인하여 주민들이 살 수 없게 되었다. 조선 태조가 보성감무를 두었고 세종은 청부에 합쳐 청보군으로 하였다가 다시 진보로 고쳐 현감을 두었다. 성종5년에 청송에 편입 했다가 성종9년에 다시 복구하였다. 고종321895년에 군으로 하였다가 1914년에 군을 폐하고 동면과 북면은 영양군에 속하고 나머지는 청송군에 병합하였다.

관향 진보의 유래 : 경덕왕 지명 개정시 영덕대소산봉화가 청송광산봉수대를 거쳐 반듯이 이 지역 남각산봉수대를 통과케 되므로 이곳이 참으로 보배스러운 곳이라는 뜻에서 진보로 정명하게 된데서 유래하였다.

관향 진성의 유래 : 신라 헌덕왕때 왕족계의 일계가 왕통정통성과 우국 복고의 단층아래 여러 곳 전란을 거쳐 진성현에 도착하여 진보현 내 중심지(현 영양읍, 석보면. 입암면 일대)를 위요한 평지 모래밭 곳곳에 성을 쌓아 진을 치고 이곳 전체를 도성으로, 치소 진보성과는 달리 진성현명을 취() 진성으로 정명, 후일 진성경계 에서 전투했다. 진성.진보현명을 소고(湖考)하면 동일지역 이명(異名) 관향 구호(舊號)이다.


주요 인물-진성이씨조상인물

고려시대 인물

이자수(李子脩) : 1330년 고려 충숙왕 17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두루 역임한 후 1362(공민왕11)에 홍건적을 토평한 공으로 안사공신 송안군(松安君) 에 봉해지고 통헌대부 판전의시사에 올랐다. 안동 작산정사에 배향되었다.

이자방(李子芳)소과에 합격하였으나 백패(白牌)를 분실하여 자손들이 환역(還役)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 인물

이운구(李云具) 통정 대부 공조참의

이운후(李云侯)통훈대부 군기시부정

이양검(李旋儉)통훈대부 합천군수

이양호(李淡浩) : . 師聖, 주부

이정(李 禎) 세종조 정북적유공 록원종훈, 영변판관한산, 선산 병 유애. 선정비가 세워졌다. 증 참판

이기담(李基聃) : 현감

이여담(李如聃) : 정랑

이우양(李遇陽) : 무과급제 현감

이홍양(李興陽) 무과급제 참군

이계양(李維陽) 자 말보 호 노송정. 중종반정시 보조공신에 서훈되고 자헌대부 이조판서에 추증, 진성군에 봉해 졌다. 예안 향현사에 배향되었다.

이윤형(李允貞) : 별시위 효행정려

이식(李 植) 器之, 진사 안동 청계서원에 배향

이우(李 塘) : (1469-1517). 明仲. 松齋. 연산조에 문과에 급제, 중종반정에 유공하여 정국공신 청해군에 봉해지고 경상도관찰사 안동부사 호조참판을 역임했다. 관동행록 및 동국사략과 문집을 저술하였고 시문에도 능하였다. 안동 청계서원에 배향되었다.

이훈(李 地) : (1467-1539) 子和. 부호군

이해(李 湘) : (1496-1550) 景明. 溫溪. 시호는 貞愍이다. 중종 때 문과에 급제, 문형에 올랐으며 을사사화 순절신에 선록되었다. 대사헌 예조판서를 역임하였고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예서에 뛰어나 필명을 얻었으며 대사헌 때 권신 우의정 이사(李邑)를 탄핵하여 파면케 했다. 아우 퇴계(退溪)와 도의상마(道義相磨)로 세칭 금곤옥계(金昆玉季)라 일컬었으며 숙부 우()를 모시고 아우 황()과 더불어 문호를 여는데 이바지 하였다. 문집이 있고 영주 삼봉서원, 안동 청계서원에 배향되었다.

이황(李 滉) : (1501-1570) 景浩. 退溪.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충청도 암행 어사 부제학 공조판서 예조판서 양관 대제학 우찬성 판중추부사를 역임하고 호당에 뽑히고 청백리에 선록되고 영의정에 추증 되었다.

정자와 주자의 도학을 이어받아 동방의 표준이 되었 고 주자학을 집대성하였다.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 이학통론(理學通論), 계몽전의(啓蒙傳疑), 경서석의(經書釋義), 고경중마방(古鏡重磨方)퇴계집(退溪集)49(정본 작업 중 총권수 증가분 미계제)을 저술하였다.

교육사업에 주력하여 주세붕이 세운 백운동서원을 소수서원이라는 사액서원을 내리게 하였다. 도산서원을 창설하여 학문연구와 후진양성에 온 정성을 다하였다. 중종, 명종, 선조의 지극한 존경을 받았으며 문묘 및 선조 묘정에 배향되었고 단암서원, 도산서원 등을 비롯하여 전국 수십개 서원에 배향되었다.

이수령(李壽苓) 大年. 찰방

이령(李 寧) (1527?) 魯卿. 漫浪. 초서와 예서에 능하고 별좌 현감 통훈대부

이교(李 喬) (15231583) 君美. 遠岩. 현감

이준(李 寯) (15231583) 廷秀 첨정

이빙(李 憑) (15201585) 輔卿 晩翠軒 첨정 증 사복시정

이결(李 潔) 濯卿. 道淵. 목사

이봉춘(李逢春) (15421562) 根晦. 鶴川. 선조 때 문과에 급제. 성균관 직강

이열도(李閱道) (15381591) 靜可. 遇岩 선조 때 문과급제 정랑

이돈(李 燉) (15681624) 光仲 壺峰 선조 때 문과에 급제 정랑 헌납 직강을 거쳐 부모 봉양을 위해 군수재임중 사직

이정훈(李廷薰) 동지사 지사 증판사

이적도(李適道) (1563?) 士立. 첨정

이안동(李安道) (15411584) 蓬原. 蒙庵. 대유학자로서 학천되어 직장을 지내고 예안 동계서원에 배향

이영도(李詠道) (15591637) 聖與. 東巖. 임진난에 유공. 선무원종공신에 책록되고 군기감정 원주목사를 역임 후 좌승지에 추증되다.

이홍도(李弘道) 士郭. 冠巖. 찰방

이래(李 崍) (15881649) 彦瞻. 柱峰. 문과 장령

이회보(李回寶) (15941669) 文祥. 石屛. 인조 때 문과급제, 병조좌랑 사인 사복시정 부사 목사를 역임, 효종의 북벌계획을 도와 표리(表裏)를 하사 받았다.

이이송(李爾松) (15981665) 壽翁. 開谷. 인조조 문과장원 예빈시정

이의적(李義迪) (1566?) 宣甫. 첨정, 장악원정 추증

이율(李 嵂) (1583?) 별좌 증사복시정

이린(李 璘) (15721633) 而獻 樵隱. 군자감정

이정희(李庭檜) (15421612) 景直 松澗. 횡성의흥 현감을 지내고 진보 봉람서원을 축성(築成)하고 퇴계선생을 배향하다.

이윤신(李允信) 원종공신 통정대부 행 평해군수를 지내고 남한산성에서 효종 호위에 충성을 다하여 표리를 하사받았다.

이찬한(李燦漢) (16101680) 子昭. 溪東. 인조 때 문과에 급제, 사헌부 장령을 지냄

이희수(李希樹) (16171684) 德滋, 忍齊, 인조 때 문과급제, 사예를 지냄.

이명익(李明翼) (16171687) 萬里 反招堂 인조 때 문과급제, 효종의 대교로 실록을 태백산에 봉안했고 봉교로서 실록을 오대산에 봉안했다. 문집이 있으며 대사간 관찰사를 지냄.

이택(李 擇) 무과급제 오위장

이진(李 振) 무과급제 부장으로 이괄의 난을 평정, 一等 공신이 됨

이성철(李誠哲) 판관

이령(李 玲) (16531700) 字 瞻叔 號 芝窩. 문과 정랑

이동표(李東標) (16441700) 字 君則 號 懶隱. 諡號 忠簡. 숙종 때 문과급제 승지를 거쳐 이조판서에 추증되였다. 나은집(懶隱集) 95책을 저술하였다.

이문표(李文標) (16631731) 字 正則 號 仁軒 숙종 때 문과급제 정랑 필선.

이집(李 集) (16721747) 字 伯生 號 世心齋 도사 현감

이고(李 杲) (1625?) 字 伯升 군수를 지냄

이학표(李學標) 字 敬而 號 愚溪 현감

이제겸(李濟兼) (16801742) 字 善敬 號 杜陵. 문과찰방

이희령(李熙寧) 통정대부 군수를 지냄

이수연(李守淵) (16931748) 字 希顔 號 靑壁. 국조명신록에 오르고 효자정려를 받았다. 유학자로서 세자익찬 퇴계선생속집” “도산금문록“ ”도산지등을 저술하였다.

이수정(李守貞) (17091795) 字 季固 號 鏡潭 學薦으로 영춘현감을 거쳐 동추에 오르고 선정을 베풀어 송덕비가 세워졌다. 문집이 있다.

이수겸(李守謙) (16741739) 字 益卿 무신년 창의 때 의병장을 하였고 현령을 역임

이세태(李世泰) (16981760) 字 季通 號 東屛. 영조 때 문과에 급제 장령 판결사를 역임 형조참의에 추증

이세사(李世師) (16941781) 字 聖伯 영조 때 문과급제 판결사 지사를 역임

이충국(李忠國) (17111777) 字 孝而 號 海尤. 영조 때 문과급제 군수

이세택(李世澤) (16951777) 字 孟潤 號 釣隱. 영조 때 문과급제 우승지 대사간 대사헌을 역임하고 문집 청량지가 있다.

이급(李 級) (17211790) 字 子明 號 聾隱. 문과 집의

이귀운(李龜雲) (17741823) 字 應瑞 號 仕隱 영조 때 문과급제, 형조참판을 지냄

이세백(李世伯) (17261800) 字 玉瑞 정조 때 문과 급제 도정을 지냄

이사운(李士雲) 字 洛瑞 號 雲嶽. 현령을 지냈다.

이세술(李世述) (1728?) 字 胤祖 현감 동추

이세탁(李世鐸) (17281791) 字 振汝 號 易隱. 현감을 거쳐 첨추에 올음, 문집이 있다.

이세문(李世聞) (17241795) 字 汝晦 號 龍溪. 현감 첨추에 올랐다.

이세덕(李世德) (1701?) 字 卿胤 숙종 때 현감을 지냄

이세윤(李世胤) 字 君愼 號 濼窩 현감, 문집이 있다.

이세항(李世恒) (16921766) 字 常伯 號 養閒堂 통정대부

이중광(李重光) (17091778) 字 平仲 號 滄厓. 영조 때 遺逸로 천거되었으나 세마에 임명되었으나 사직하고 학문에 전심하여 문집을 남겼다.

이중경(李重慶) (1724?) 字 志彦 號 雲齋. 일생을 학문연구에 전력하여 성리학과 예론에 밝았으며 학자로써 문집을 남겼다.

이중연(李重延) (17111794) 字 希愿 號 陋室. 향시에 합격, 학문에 전심하여 학자로서 문집을 남겼다.

이귀응(李龜應) (17291789) 字 宗瑞 號 十梅軒 군수

이귀석(李龜錫) (17401835) 字 恩瑞 號 佋隱. 군수, 첨추, 소은집(佋隱集) 6권이 전한다.

이태순(李泰淳) (17591940) 字 來卿 號 草庵, 순조 때 문과급제, 이조참판을 지냄

이언순(李彦淳) (17401812) 字 景寬 號 聾窩. 순조 때 문과, 공조참의 암행어사 대사간 대사성 사은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오고 이조참판에 이르렀다.

이동순(李同淳) (17791860) 字 義卿 號 樊庵. 순조 때 문과, 호조참판 가선대부에 올랐다.

이가순(李家淳) (17681844) 字 學源 號 霞溪. 순조 때 문과에 급제, 응교를 지내고 선필법(善筆法)을 저술하고 하계집(霞溪集) 12권을 남겼다.

이효순(李孝淳) (17891818) 字 源白 號 洛北. 순조때 문과에 급제 판의금부사를 역임

이야순(李野淳) (17551831) 字 健之 號 廣瀨. 학천으로 주부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성리학연구에 몰두하 여 광리집(廣瀨集) 13권을 저술하였다.

이이순(李頤淳) (17541832) 字 穉養 號 後溪. 의금부도사 현감을 지내고 후계서당을 지어 후진양성에 힘쓰고 후계집 6권을 저술하였다.

이병순(李秉淳) (175111818) 字 幼性 현감

이지순(李志淳) (17621807) 字 穉和 號 省流亭. 군수

이정순(李程淳) (17641844) 字 景伯 號 龍谷. 현감 군수를 지내고 첨추에 올랐다.

이한응(李漢膺) (17781864) 字 仲模 號 敬菴. 감역 첨추 도정을 지내고 학문에 전심하여 시문에 능했다.

이만규(李晩煃) (17981862) 字 景休 문과 교리

이휘규(李彙圭) (17861854) 字 心愛 號 문과 승지

이기동(李基東) (18081896) 字 景章 號 石堂. 헌종 때 문과 사복을 역임

이종수(李宗洙) (17221797) 字 學甫 號 后山. 대학자로 후산집(后山集) 18권과 퇴계서절요답의(退溪書節要剳疑) 10여종의 저술을 남겼다.

이휘정(李彙正) (17811838) 字 聖揆 號 東痺 금부도사

이인행(李仁行) (17581839) 字 公宇 號 新野 翊衛

이휘령(李彙寧) (17881861) 字 君睦 號 古溪 성리학을 전수하여 십도고증(十圖攷證)을 저술하고 글씨에 능했다. 군수 부승지 도정 부총관을 역임했다.

이휘재(李彙載) (17951875) 字 德與 號 雲山 우윤을 역임하고 운산집 13권을 저술하였다.

이휘정(李彙廷) (17991875) 號 橫杲 형조참의 중이참

이회상(李會相) (1809?) 字 德文 도정 증이조참의

이형강(李馨綱) (1810?) 字 子新 숭정대부 지사

이만익(李晩翊) (17991879) 字 亨進 號 可澗 공조참의

이만운(李晩運) (18151886) 字 文五 號 雙翠 문과 참판

이만덕(李晩德) (1789?) 字 日休 문과 정언

이휘준(李彙濬) (18061867) 字 深文 號 復齋 대사성을 역임하고 부재집(復齋集) 6권을 저술하였다.

이휘승(李彙承) (18071889) 字 敬天 號 문과에 급제, 참판을 역임, 현풍에 선정비가 세워져 있다.

이휘병(李彙秉) (18191891) 문칙 문과 승지

이만기(李晩耆) (18251888) 字 德老 문과 승지역임

이계로(李啓魯) (18281886) 字 聖建 號 石林 문과 참판

이휘림(李彙林) (18291893) 字 平叟 문고 교리를 역임

이만형(李晩瀅) (18251877) 字 揚叟 號 문과 교리역임

이유로(李有魯) (18311869) 字 聖若 문과 정언역임

이만유(李晩由) (18221904) 字 道汝 문과에 급제하여 승지를 지내고 가선대부에 올랐다.

이만송(李晩松) (18051875) 字 公茂 문과 정언을 역임

이만도(李晩燾) (18421910) 字 觀必 號 響山 문과에 급제하여 승지를 거쳐 자헌대부에 올랐다, 대학자로 향산집 19권을 저술했고, 민비 시해사건에 의병을 지휘했고, 한일밥방에 분노, 자결했다. 절신록에 올라있고,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복장이 수여되었다.

이만용(李晩容) (18311893) 字 景燁 문과, 응교를 역임

이만로(李晩魯) (18271878) 字 仲連 문과 정언을 역임

이휘상(李彙相) (18351889) 字 公弼 문과, 정언을 역임

이만현(李晩鉉) (18321911) 字 英玉 문과에 급제, 교리를 지내고 통정대부에 올랐다.

이만승(李晩昇) (1821?) 군수를 역임, 역제삼업에 모두 선정비가 서있다.

이만시(李晩蓍) (18141875) 號 石圃. 군수를 역임

이만수(李晩綏) (18231886) 字 國明 號 憲山, 목사역임

이만각(李晩慤) (18151874) 字 謹休 號 愼庵 감역을 지내고 학자로서 신암집 10권을 저술하였다.

이만인(李晩寅) (18341897) 字 君宅 號 龍山, 감역을 지내고 학자로서 용산집 11권을 저술하였다.

이만일(李晩逸) (1817?) 字 公呂 도정을 역임

이만기(李晩起) (1824?) 字 文八 도사를 역임

이만윤(李晩胤) (1834?) 字 繼祖 號 左山 익위역임

이중언(李中彦) (18501911) 字 仲寬 號 東隱. 문과에 급제 정언 지평을 역임하고 경술합방에 분개하여 자결했다. 1962년 건국공로훈장이 수여되었다.

이연묵(李淵黙) (18241890) 字 海卿. 문과급제 정언을 역임했다.

이중두(李中斗) (1836?) 字 雲卿 문과 이조참의

이만정(李晩正) (18301902) 字 啓衍 문과 이조참의

이만규(李晩煃) (18451920) 字 順則 號 柳川 문과, 파리만국평화회의 유림단장서에 서명하였다. 한일합방 순절신에 올라있으며 교리를 역임하였다.

이중철(李中轍) (1848~1937) ():중원(仲圓), ():효암(曉庵), 학자, 효암집 189책을 저술하였고, 도산서원원장을 지냈고 참봉을 하였다.

이교영(李敎英) (1833~1895) ():화녀(華汝), ():화산(華山귀옹(歸翁), 생원에 합격, 부사를 역임하였다.

이명호(李明浩) (1834~1893), ():경문(景汶), 진사에 합격하여 도사를 역임하였다.

이중철(李中喆) (1852~?) 진사에 합격하고, 군수를 역임하였다.

이철화(李澈和) (1857~?) 교관을 지내고 통정대부에 올랐다.

이원호(李元浩) (1843~1893), ():공화(公華), ():송강(松江), 고종 때 문과급제, 지평을 지냈다.

이중태(李中泰) (1872~?), ():성등(聖登), 고종 때 문과급제, 승지를 역임하였다.

이기호(李琦浩) (1856~?), ():학경(學卿), ():청초(聽焦), 고종 때 문과급제, 비서승을 지냈다.

이중찬(李中燦) (1862~1911), ():문노(汶老), 고종 때 문과급제, 정자를 지냈다.

이문구(李文救) (1862~?), ():치목(致睦), 고종 때 문과급제, 비서승을 지냈다.

이중인(李中寅) (1857~?), ():경빈(景賓), ():노산(老山), 학자, 저서 노산집을 저술했다.

이중균(李中均) (1861~1939), ():국경(國卿), ():동전(東田), 학자로 동전하고, 158책을 저술하였고, 진사시에 합격 후 성균관에 입관하였으나, 후 귀향 벼슬을 단념하였다.

이홍락(李弘洛) (1862~?), 교관을 지내고 통정대부에 올랐다.

이만강(李晩綱) (1865~?), 비서승을 지냈다.

이교필(李敎弼) (1859~?), ():원오(元五), 군수를 역임하고 통정대부에 올랐다.

이선호(李宣鎬) (1874~?), ():무우(武尤), 고종 때 진사에 급제하고, 군수를 역임하였다.

이충호(李忠鎬) (1872~?), ():서경(絮卿), ():하정(霞汀), 학자로 추앙받았으며 참봉을 역임하였다.

이중수(李中洙) (1863~?), ():달원(㒓遠), ():중재(), 통덕랑이며, 대학자로서 문집이 있다.

이선구(李善求) (1856~?), ():정우(正佑), ():유원(橋園), 도산서원원장을 유집.

이수춘(李壽春) ():국첨(國瞻), ():기수(汽叟), 한학자 기수유고 8.

이만손(李晩孫) 1881년 고종 18년에 김홍집(金弘集), 황준헌(黃遵憲)의 조선책략에 반대 만인소(萬人疎)를 올려 규탄하다 강진현(康津縣)에 귀양갔다가 뒤에 풀려났다.

근대(近代) 인물(人物)

이진호(李縉鎬) (1865~?), 주사.

이돈호(李敦鎬) (1866~?), 참봉.

이교영(李敎榮) (1866~?), 박사.

이상호(李相鎬) (1866~?), 주사.

이중혁(李中赫) (1869~?), 의관.

이명우(李命羽) (1872~?), 진사, 애국지사.

이병식(李炳植) (1872~?), 참봉.

이창하(李昌夏) (1872~?), 참봉.

이태연(李台淵) (1873~?), 주사.

이필교(李弼敎) (1873~?), 참봉.

이인화(李鱗和) (1874~?), 진사.

이원국(李源國) (1875~?), 주사.

이승화(李承和) (1875~?), 교원.

이교해(李敎海) (1876~?), 참봉.

이재호(李在琥) (1876~?), 주사.

이규연(李奎淵) (1877~?), 의관.

이치호(李致鎬) (1878~?), 진사.

이병주(李炳株) (1879~?), 주사.

이중황(李中璜) (1879~?), 학사.

이경화(李敬和) (1880~?), 교관.

이세강(李世綱) (1881~?), 참봉.

이종호(李鐘昊) (1882~?), 주사.

이상호(李祥鎬) (1883~?), 윤문집.

이병조(李炳祖) (1884~?), 참봉.

이종섭(李鐘燮) (1886~?), 교관.

이광호(李洸鎬) 3·1운동, 82년 대통령표창, 90년 애족장(愛族章)을 서훈받음.

이극호(李極鎬) 3·1운동, 83년 대통령표창, 90년 애족장(愛族章)을 서훈받음.

이동봉(李東鳳) 3·1운동, 68년 대통령표창, 91년 애국장(愛國章)을 서훈받음.

이동하(李東廈) 중국동삼성, 63년 대통령표창, 90년 애족장을 받음.

이동학(李東學) 광복군, 82년 대통령표창, 90년 애족장을 서훈 받음.

이동흠(李棟欽) 2경북유림단, 80년 대통령표창, 90년 애족장을 서훈 받음.

이만도(李晩燾) 한일합방 순절신(殉節臣), 62년 독립장을 서훈 받음.

이만규(李晩) 한일합방 순절신(殉節臣)()에 올랐으며 95년 건국포장을 서훈 받음.

이맹호(李孟鎬) 3·1운동, 86년 대통령표창, 90년 애족장을 서훈 받음.

이목호(李穆鎬) 중국동삼성, 83년 건국포장, 90년 애국장을 서훈받음.

이병린(李炳麟) 3·1운동, 90년 애족장을 서훈 받음.

이비호(李丕鎬) 3·1운동, 83년 대통령표창, 90년 애족장을 서훈 받음.

이선호(李先鎬) 6·10만세, 68년 대통령표창, 91년 애국장을 서훈 받음.

이시교(李時敎) 3·1운동, 77년 대통령표창, 91년 애국장을 서훈 받음.

이열호(李烈鎬) 군자금모집, 68년 대통령표창, 77년 건국포장, 90년 애국장을 서훈 받음.

이령호(李齡鎬) 3·1운동, 83년 대통령표창, 90년 애족장을 서훈 받음.

이용호(李用鎬) 3·1운동, 83년 대통령표창, 90년 애족장을 서훈 받음.

이운호(李雲鎬) 신간회(新幹會), 83년 대통령표창, 90년 애족장을 서훈 받음.

이원기(李源祺) 대구조은투탄(大邱朝銀投彈): 68년 대통령표창, 77년 건국포장, 90년 애국장을 서훈 받음.

이인화(李仁和) 의병: 77년 건국포장, 90년 애국장을 서훈 받음.

이종흠(李倧欽) 2경북유림단: 86년 대통령표창, 90년 애족장을 서훈 받음.

이중무(李中珷) 3·1운동: 83년 대통령표창, 90년 애족장을 서훈 받음.

이중언(李中彦) 순절(殉節), 한일합방서 절신록에 올랐으며 62년 독립장서훈.

이중업(李中業) 파리장서(巴里長書), 83년 대통령표창, 90년 애족장을 서훈 받음.

이중원(李中元) 3·1운동: 90년 애족장을 서훈 받음.

이지호(李墀鎬) 신간회: 83년 대통령표창, 90년 애족장을 서훈 받음.

이필곤(李苾坤) 의병: 77년 건국포장, 90년 애국장을 서훈 받음.

이회림(李晦林) 3·1운동: 92년 애족장을 서훈 받음.

이현구(李賢求) 국내항일, 95년 애족장을 서훈 받음.

이헌교(李憲敎) 국내항일, 86년 대통령표창, 90년 애족장을 서훈 받음.

이호승(李鎬承) 청년외교단, 63년 대통령표창, 90년 애족장을 서훈 받음.

이만원(李萬源) 의병, 68년 대통령표창, 77년 건국포장, 90년 애국장을 서훈 받음.

이경식(李京植) 국내항일, 96년 애족장을 서훈 받음.

이병희(李丙禧) (), 국내항일, 96년 애족장을 서훈 받음.

이수호(李壽鎬) 3·1운동, 83년 대통령표창, 90년 애족장을 서훈 받음.

이원유(李源裕) 대구조은투탄, 68년 대통령표창, 77년 건국포장, 90년 애국장을 서훈 받음.

이발호(李發鎬) 만주방면, 90년 애국장을 서훈 받음.

이원박(李源博) 의병, 77년 건국포장, 90년 애국장을 서훈 받음.

이긍연(李兢淵) 의병, 2002년 건국포장을 서훈 받음.

이기호(李埼鎬) 3·1운동, 93년 대통령표창을 서훈 받음.

이남호(李南鎬) 3·1운동, 95년 애족장을 서훈받음.

이원혁(李源赫) 국내항일, 63년 대통령표창, 91년 애국장을 서훈 받음.

이호준(李鎬俊) 3·1운동, 93년 대통령표창을 서훈 받음.

이원호(李元鎬) 국내항일, 애족장을 서훈 받음.

이운호(李運鎬) 의병좌익장, 93년 건국포장 서훈 받음.

이의호(李宜鎬) 을미의병, 93년 애족장 서훈 받음.

이승연(李承淵) 3·1운동, 96년 애족장 서훈 받음.

이걸호(李杰鎬) 애국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