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랑스러운 조상님

송준길은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로 호는 同春堂(동춘당), 본관은 은진이다

작성일 : 2017-03-22 11:16 수정일 : 2017-03-22 11:37

* () : 明甫(명보)

* () : 同春堂(동춘당)

* : 1606(선조39) - 1672(현종13)

* : 집의, 찬선, 이조참판, 성균관 제주, 병조판서, 대사헌, 이조판서, 우참찬, 좌참찬

* : 영의정

* 거주지 : 회덕 송촌

* : 동춘당, 동춘고택(송촌동), 옥류각, 초연물외 암각(비래동)

* : 동춘당집, 어록해

* : 대전광역시 서구 원정동

송준길은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로 호는 同春堂(동춘당), 본관은 은진이다. 영천군수 송이창의 아들이다. 서울 정릉의 외가인 김은휘의 집(서울 정동 구 대법원 청사자리)에서 태어났다. 이곳은 일찍이 사계 김장생·신독재 김집이 태어난 곳이었으므로 송준길의 출생까지를 합쳐 사람들이 이곳을 三賢臺(삼현대)라 불렀다. 문묘에 배향 된 삼현이 태어난 곳이라는 뜻이다. 그는 어려서 율곡 이이를 사숙하였고, 청년기에 송시열·이유태 등과 함께 김장생(동춘의 표종숙)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인조반정 직후인 1624(인조2) 사마 양시에 합격하였고, 1630년 학행으로 천거되어 세마에 제수되었다. 이후 내시교관·동몽교관·시직·대군사부·예안현감·형조좌랑·지평·한성부판관 등에 제수되었으나 대부분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 이 기간 중에 1633년 동몽교관으로 잠시 출사하였으나, 장인 우복 정경세의 죽음이 있자 이를 빌미로 사임하였고, 곧이어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출사할 명분이 없다 하여 향리에서 공부에 전념하였다. 1649년 인조가 죽고 효종(봉림대군)이 즉위하였다. 효종은 청이 조선을 무력으로 굴복시키고 만행을 자행하는데 대해 대군 시절부터 강한 복수의 의지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청에 인질로 끌려가서 8년 동안이나 볼모 생활을 한 경험을 가지고 있었고, 또 자신이 그곳의 지리·정세 등에 밝았으므로, 즉위와 함께 자신의 북벌의지를 실천에 옮기고자 하였다. 효종은 먼저 조정에서 친정세력을 배제하고 재야의 참신하고 절의있는 인제들을 등용하고자 하여 산림을 대거 중용하였으니, 김상헌·김집을 필두로 한 이른 바 산당의 출현은 바로 북벌의지의 산물이었다. 효종이 즉위한지 한달이 되는 68, 송준길(,지평)은 김집(,승지송시열(,지평유태(,사부권시(,자의) 등 호서의 대표적 유자관인들과 함께 왕의 소명을 받고 서로 뒤를 이어 조정에 들어왔다. 효종은 다음 날 처음으로 정사를 보았는데 이때 이들의 대표격인 김집을 발탁하여 예조참판에 제수하였다. 이조가 예부의 관헌은 반드시 문신 중에서 등용해야 한다고 하여 반대를 하였으나, 왕은 "옛것을 상고하고 글을 읽은 사람을 부른 것은 장차 등용하기 위해서이니, 상규에 얽매일 것이 아니다"라 하여 그의 산림중용의 방침을 확고히 하였다. 그러나 김집은 여론을 의식하여 이를 극구 사양하였으므로 효종은 우선 그를 예조참판에 제수하였다가, 대사헌을 거쳐 그 해 11월 이조판서에 기용하게 된다. 산당의 영수인 김집에 대한 이러한 예우는 곧 그 당여인 송준길·송시열의 지위변화에도 밀접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송준길은 진선·장령 등을 거쳐 집의(3)에 올랐는데, 이때 그는 공신계로서 비난이 높았던 김자점을 탄핵하여 이들을 축출하는 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김자점이 효종의 반청정책을 밀고하여 청의 조사 사절이 줄을 이어 내려오는 등 사태는 급변하게 되자, 송준길은 산당계의 다른 인사들과 함께 벼슬을 버리고 낙향할 수 밖에 없었다. 그 후 송준길은 집의·이조참의·찬선 등으로 여러 번 부름을 받았으나 계속 사퇴하였고, 1658(효종9) 7월 조정에 다시 들어가 찬선·대사헌·이조참판을 차례로 역임하고, 그해 12월에는 성균관의 제주(3)를 겸하게 되었다. 16593월에 병조판서에 제수 된 후 대사헌, 우참찬 등을 맡아 이조판서를 맡고 있던 송시열과 함께 국정을 이끌면서 북벌계획에 깊이 참여하였다. 그러나 북벌을 당연히 국시로 삼아야 하되 바로 북벌시행은 불가하며, 민생의 안정을 이룬 후에 대지를 펼 수 있다는 신념을 갖고 민생을 살리고 국정을 안정시키는 일에 부심하였다. 그러나 효종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국가의 북벌계획은 무산되고 말았다. 이 때 조대비의 복상문제로 예송이 발발하자 송시열과 함께 기년제를 주장하여 뜻을 관철시켰다. 이 해에 이조판서가 되었으나 곧 사퇴하였고, 이후 우참찬·대사헌·좌참찬 등 여러벼슬에 임명되었으나, 기년제의 잘못을 규탄하는 남인계의 계속된 상소로 사퇴하였다. 이때 1665(현종6) 원자의 보양에 대한 건의를 하여 첫 번째 보양관이 되었으나, 곧 사퇴하였다. 1670년 세자의 관례가 있어 조정에 나갔으나 잠시 머물다가 다시 낙향하였다. 이후 2년 동안 회덕 향리에서 조용히 지내다가 1672(현종13) 67세로 타계하였다.

 

1673년 송준길은 현종에 의해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그러나 다음해에 인선왕후(효종비) 의 죽음을 계기로 조대비의 복상문제가 다시 대두되었고(2차 예송), 이번에는 남인의 기년설이 서인의 대공설을 누르고 승리하게 됨에 따라 남인이 정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따라서 1675(숙종1) 송준길은 허적·윤휴·허목 등의 공격을 받아 삭탈관작 당하였으나, 1680년 경신환국으로 서인이 재집권함으로써 관작이 다시 복구되었다.

 

1681년 회덕의 숭현서원에 배향되었고, 문정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이후 연산의 돈암서원, 공주의 충현서원 상주 흥암서원 등과 이외에도 많은 여러 서원에 배향되었고, 1756(영조32)에는 문묘에 배향되었다. 저서로동춘당집,어록해등이 전하고 있다.

 

송준길은 존심과 인애를 위주로 하면서 예를 돈독하게 실천한 인물이었다. 송시열은 그가 쓴 송준길의 <묘지문>에서 "인애를 주로 삼고 예로써 모든 일을 처리하였다. 그러므로 논리가 지극히 바르고 은의가 두터워서 후세의 법도가 될 만 하였다." 라 하였고, 효종은 "(송준길은) 마음을 잡아 지킴이 지극히 공변되어 사사로이 한쪽으로 편벽 됨이 없다" 라 하였다. 송준길은 공자·맹자·주자로 전승되어 온 도통의 학맥을 존숭하였고, 율곡(이이)-사계(김장생)-신독재(김집)로 이어지는 기호학통의 학문체계에 충실하였다. 특히 예학에 주력하여 스승 김장생으로부터 "이 사람이 훗날 반드시 예가의 종장이 될 것이다" 라는 기대를 받았다. 실제로 김장생의 억예문해를 검토해 보면, 전체 542개 문항 중 44.3%에 해당하는 무려 240개 문항에 대한 문례가 송준길에 의해서 제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그 문례의 내용이 매우 수준 높은 것인 점으로 보아 예학적 수준을 감지할 수 있다. 훗날 현상윤은 "(송준길의) 학문은 송시열과 경향을 같이 하여 주서와 심경과 근사록 등서에 치력하였으나, 그의 가장 득의처는 예학이었다." 라고 평하였다. 송준길이 예학에 주력하게 된 것은 그의 학통적 배경도 있겠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당시의 무너진 정치·사회의 기강을 바로잡을 윤리질서의 재건이 무엇보다도 긴요하다는 시대인식과 직결된 것이었고, 산림으로서의 시대적 과제에 대한 책임의식과 연관된 것이기도 하였다. 그는 형식적인 예행을 경계하고, 의식적인예행을 중시하였다. 그가 "하늘을 섬기고 신을 섬기는 도리는 제물의 크고 적음에 있지 않고, 오직 그것이 의리에 합당한가 그렇지 않은가를 볼뿐이다. 라 한 데에서도, 예를 통하여 의리를 진작시키고자 했음을 주지케 된다. 이러한 그의 의리위주의 입장은 비단 제사 예에서뿐만 아니라 정치사회의 모든 면에 적용되는 것이었다. 이러한 인식의 저변에는 그의 성리학적 철학사상이 바탕하고 있었다.

 

송준길은 주자가 공맹의 도통을 잇고 그것을 세상에 새롭게 밝힌 성인이며, 따라서 정학을 공부하는데는 주자를 존심함이 으뜸이라고 인식하였다. 그것은 당시 유자들이 대체적인 통념이었고, 그의 학문과 사문의 전통적 학풍이었으며, 청의 무력에 의해 처참하게 유린된 조선의 실상과 그 극복에의 의지가 남송대 주자의 극복의지와 매우 흡사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주부자가 후학에게 가르친 아름다운 뜻을 내 지금 봉행하리라" 하였던 것이다.

송준길은 대체로 주자·율곡의 성리설을 견지하는 입장을 취하였다. 이이의 理氣說을 계승하여 그것을 철학의 근본문제로 삼았던 것이다. 그러나 그가 이이의 설을 그대로 답습한 것만은 아니었다. 理氣說에서 의 일차적인 우위성을 인정하였다. 이것은 이이의 理氣說과는 것으로 오히려 이황의 그것에 더 가까운 理氣論이라 할 수 있다. 또 심성론에서도 을 핵심적인 논거로 삼아, 未發이고, 已發이며, 이 발한 후에 그것에 관해서 경영하고 상량하는 것이 라고 보고, 그 상관관계를 심통리기설로 정리하였다. 이것은 또한 이이의 심통기설과 다른 측면이 보이는 것이다. 인심과 도심에 있어서도 그는 "은 허영지각한 것으로 를 합하여 이름한 것이다. 혈기에서 나온 것을 일컬어 人心이라 하고 의리에서 나온 것을 일컬어 道心이라 한다"라 했다.

송준길은 ()을 수양의 가장 중요한 규준으로 삼고, 또 가치의 근거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그는 주경을 강조하였다. 주경의 목적은 인욕을 억제하여 천리를 보존케 하는 것에 있었다. 그것은 인간의 본성을 회복하여 인륜도리를 밝히고 이것을 잘 지켜나가게 하는 수양의 요체였으며, 동시에 "天理를 보존하는 일은 사직을 편안히 하는 所以(소이)가 된다" 라 한 바와 같이 사회와 국가를 안정케 할 수 있는 근원적인 대안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천리와 인욕을 엄격하게 구분하고, 不義, (), 中華(중화)夷狄(이적), 正道邪說(사설)을 밝혀 中華正道를 쫓는 것이 天理를 온전히 회복하는 것이고 또한 춘추대의를 확립하는 유일한 길이라고 믿었다. 그러므로 현실 정치에 있어서도, 불의를 응징하는 일에 적극적으로 나서 공신계로서 권세를 휘두르고 청에 아첨하던 김자점 등을 몰아내는 데 앞장섰고, 사육신의 절의를 존숭하여 박팽년 등을 위한 사당의 건립을 건의하였으며, 또한 효종의 북벌계획에 동참하여 그 추진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것이다. 송시열은 이러한 송준길의 의지와 노력을 일러 "스스로 존주의리를 지키고 (청에 대해) 복수할 것을 자신의 임무로 삼았다" 라고 평하였고, 태학박사 황경원은 "선왕이 밤낮으로 정신을 가다듬고 마음을 새롭게 해서 한결같이 인의에 근거하여 오로지 북벌에만 힘을 쏟고 그 뜻을 굳게 지켜나갈 수 있었던 것은 송준길의 힘이었다"고 말하였다. 북벌운동에서의 송준길의 위상을 가히 알 수 있다 하겠다. 동종인 송시열과 학문경향은 물론 정치적 출처를 함께 하여 세상사람들은 그들을 양송으로 칭하였다. 그는 문장과 글씨에도 능하여서 곳곳에 많은 글씨를 남기고 있는데, 동암서원 묘정비·숭현서원비·박팽년 유허비 등 많은 유품을 남겼으며 저서에 동춘당집·어록해등이 있다. 시호는 문정이고 유적은 동춘당과 동춘당고택(송촌동), 옥류각(비래동)이 있으며, 묘는 원정동에 있다.